한,러 나진-하산 프로젝트 중단…‘카드’ 꺼내는 정부

  • 등록 2016.02.13 18:22:40
크게보기

러시아 측 “아직 韓정부 공식통보 못 받았다” 주장

정부 “北 핵무기·미사일 개발 자금 유입되는 것 차단”…컨소시엄 타격 없을 듯


한국 정부가 대북제재의 하나로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 사진은 2015년 11월 24일 나진항에서 들여온 유연탄을 내려놓는 화물선.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정부가 대북제재의 하나로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 사진은 2015년 11월 24일 나진항에서 들여온 유연탄을 내려놓는 화물선.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정부가 지난 10일 개성공단 전면 중단에 이어 ‘나진-하산 프로젝트’ 무기한 중단이라는 카드를 내놨다. 대북제재와 관련해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하나씩 꺼내는 분위기다.

정부는 11일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의 도발에 대한 조치로, 올 상반기 러시아 측과 본 계약을 체결하려던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무기한 중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에 들어가는 ‘돈줄’을 막기 위해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무기한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5.24조치에도 계속 추진되던 한-러-북 간의 공동 프로젝트는 막을 내리게 됐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채굴한 석탄을 하산-나진을 잇는 54km 철도로 운송한 뒤 나진항에서 한국까지 배로 실어 나르는 복합물류사업이다. 2013년 11월 박근혜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올 상반기 한국과 러시아 간의 본 계약에 체결됐다면, 한국이 지불하는 돈은 러시아 측을 통해 북한으로 흘러들어갈 예정이었다. 2015년 12월 3차 사업을 통해 농심의 ‘백산수’가 나진항을 통해 부산으로 도착하기도 해 계약이 체결되면, 물류 사업 확대와 함께 북한의 ‘돈줄’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한편 러시아 사업자인 ‘러시아 철도공사(RZD)’ 측은 “아직 한국 측으로부터 공식 통보를 못 받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철도공사’ 측은 “주러 한국대사관이나 한국 컨소시엄에게서 아무런 연락을 받은 바 없다”며 한국 정부의 조치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 전경웅 기자
  • enoch2051@hanmail.net
  • 뉴데일리 기획취재부장입니다. 통일부,외교부,북한,국제 분야를 맡고 있습니다.

    저의 주된 관심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국익보호'입니다. 국익보호와 관련된 이슈는 국제관계에서만 발생하지 않습니다. 국내의 어두운 세력들이 더 큰 위험성을 갖고 있다고 봅니다.

    기자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자가 알려주는 정보가 세상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국민이,독자 여러분이 세상을 바꿀 것입니다.


    뉴스관리자 sblee2k@hanmail.net
    <대한민국지키기불교도총연합(大佛總 ), 전재 및 재배포 허용>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5길 37 (양재동) 양촌빌딩 2층 전화 : 02) 2265-0570 / 팩스 : 02) 2265-0571 / E-mail : sblee2k@hanmail.net Copyright NaBuCo.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