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0 (수)

  • 맑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1.2℃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3.2℃
  • 맑음대구 1.5℃
  • 구름조금울산 4.5℃
  • 맑음광주 0.0℃
  • 구름조금부산 5.0℃
  • 맑음고창 -2.8℃
  • 구름조금제주 5.4℃
  • 맑음강화 -4.7℃
  • 흐림보은 -1.0℃
  • 맑음금산 -3.3℃
  • 맑음강진군 0.9℃
  • 맑음경주시 4.1℃
  • 구름많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역사를 움직이는 동력(動力)

역사에서 우리가 알고자하는 것은 무엇인가? 우선 역사는 과거의 기록이니 일어난 일이 정확히 무엇이며 그러한 역사적 사건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가를 알고자 한다. 그리고 가장 궁금한 것은 역사의 의미와 그것을 움직이는 힘 그리고 방향일 것이다.

근대에 역사의 의미와 방향을 본격적으로 탐구하여 가장 발전된 역사철학이론을 확립한 사람은 독일의 철학자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이었다.

그는 역사가 인간 정신의 자유 실현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향해 발전한다고 보았다. 그는 정반합(正反合)이라는 정신의 변증법을 창안하여 정신(正)이 그 대립자인 자연(反)과의 투쟁을 통하여 절대정신으로 지양(合)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반복해서 역사가 발전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세계역사를 그리스 폴리스의 공공(公共)의 자유에서 로마 공화국의 시민권 개념을 거쳐 종교개혁의 개인자유로 그리고 현대국가의 시민적 자유로 발전해 가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그런데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는 이런 정신변증법의 역사를 물질 변증법의 역사로 바꿨다. 그는 역사발전의 동력을 정신이 아니라 물질이라고 보았고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에서 야기되는 변증법적 투쟁을 역사로 이해했다. 부르주아 계급의 지배가 노동자 계급에 의한 혁명으로 타파되어 공산주의사회가 이루어지면 역사가 끝난다고 보았다. 19세기와 20세기 중반까지는 소위 과학이면 모든 것이 통하던 과학주의의 시대였기 때문에 과학적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마르크스의 유물사관이 역사철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우리나라에서 한 때 대학생들의 필독서였던《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쓴 에드워드 카(Edward Hallett Carr, 1892~1982)도 역사에 관한 주옥같은 글들을 썼지만 마르크시즘의 역사관에 기울어 있었다. 그는 소련의 스탈린 체제를 변호했고 마르크스가 제시한 방향으로 역사가 발전하는 것을 진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마르크스의 역사철학이 한계를 드러내면서 헤겔이 다시 주목을 받았다. 먼저 모스크바 출신 프랑스 철학자 알렉상드르 코제브(Alexandre Kojève 1902-68)가 마르크스주의자에서 헤겔철학으로 전향했다. 그 영향을 받은 후쿠야마(Francis Fukuyama, 1952~)는 냉전이 끝나면서 1989년《역사의 종언》을 써서 헤겔의 역사철학을 부활시켰다. 그는 이념의 투쟁으로서의 역사는 공산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의 승리로 이제 끝났다고 주장했다.

후쿠야마는 역사의 진보를 추동하는 두 세력을 하나는 경제요 다른 하나는 헤겔이 언급한 “인정을 받기 위한 투쟁(struggle for recognition)”이라고 보았다. 경제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시장(市場)의 힘에 따라 발전한다고 한다. 그리고 인정을 위한 투쟁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엄과 지위를 인정을 받기 위한 인간 존재의 욕구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이다.

공산주의가 자유민주주의를 이길 수 없었던 것은 이 두 가지 투쟁에서 모두 실패했기 때문이다. 경제발전 분야에서 공산주의의 중앙통제 지시 경제는 자유민주주의의 시장경제를 이길 수 없었다. 또한 인정을 위한 투쟁에서도 공산주의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자유민주주가 개인 인권의 존중을 통해 발전시킨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인정을 이길 수 없었다. 경제도 파탄에 이르고 사람대접도 받지 못하는 공산주의는 스스로 붕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공산주의가 붕괴했다고 해서 역사가 끝났다고는 볼 수는 없다. 이념간의 투쟁의 역사는 끝났지만 이슬람 과격세력이나 극단적 민족주의 세력처럼 자기편의 구원만을 추구하는 집단주의의 보편적 인간성에 대한 도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모든 중생에게 불성(佛性)이 있어 극악한 존재인 일천재(一闡堤)까지도 성불할 수 있다고 설파한 붓다의 보편적 자비가 인간사회에서 실현될 때까지 인간 투쟁의 역사는 끝나지 않을 것 같다.

(금강신문 2015년 3월 10일 화요일 15면)

정천구, 서울디지털대 교수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