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3 (토)

  • 구름많음동두천 16.2℃
  • 구름많음강릉 16.7℃
  • 구름많음서울 17.6℃
  • 맑음대전 17.4℃
  • 구름조금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5.2℃
  • 맑음광주 16.8℃
  • 구름많음부산 14.8℃
  • 구름조금고창 14.2℃
  • 구름많음제주 15.8℃
  • 흐림강화 14.0℃
  • 구름많음보은 17.2℃
  • 구름조금금산 16.6℃
  • 맑음강진군 16.8℃
  • 구름많음경주시 15.1℃
  • 구름많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김정은이의 바람잡이 문재인 정부의 내일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특사가 3월 6일 북한의 김정은을 만나고 돌아와서 발표한 내용은

보통 상식인의 수준에서도 "우리나라가 북한에 또 속고 있구나!"라고 판단이 될 정도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지난 1990년 이래 북한에 속아온 내용을 되풀이 하는 수준의 것 뿐이다.


오로지 다른 것은 문재인을 평양으로 부르지 못하고

판문점 우리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 4월말 김정은이가 온다는 것 뿐이다.


김정은 이가 오직 다급했으면 이렇게 허겁지겁 할까?

확실히 유엔 및 미국의 제재조치가 이제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같다.

그렇지만 이 와중에도 북한은 더욱 치밀한 속임수를 쓰는 교활함을 엿불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속고 있는 것이 아니라 속아주고 싶어하거나

우리 국민과 미국까지 속이려는 김정은 이의 바람잡이와 같아 보인다.


이번 특사단 대표들이 미국과 일본, 러시아, 중국에도 설명하러 간다고 한다.


중국과 러시아는 속으로 북한의 속 뜻을 알아차리고 짐짓 훌륭한 진척이라고 환영할 것이다.

그렇지만 미국은 신중하며 절대 다시는 속지 않을 것이다.

북한의 사기술은 더 이상 통하지 않고 더욱 궁지에 몰릴 것이다.


우리나라도 북한의 바람잡이 역할을 포기하지 않으면 세계의 웃음거리가 되고

문재인 정부는 몰락을 자초하게 될 것이다.


이제 무슨 방법이 우리에게 남아 있을까?


답은 친북. 친중의 굴욕적 자세를  청산하고,

미국과 엇박자 정책도 개선하여, 대북제재조치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국의 대북한 무력사용의 경우에 대비하여

북핵위협의 당사국으로서 우리의  결연한 태도와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대불총 성명서] “국민의 힘” 정체성이 의심된다. [대불총 성명서] “국민의 힘” 정체성이 의심된다. 최근 “국민의 힘”의 김재원 의원과 태영호 의원의 발언을 문제 삼아 당내에서 징계의 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에 우려를 표한다! 김재원 의원의 발언은 2가지이며 그 요지는 하나는 사석에서 “5.18정신을 헌법전문에 포함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4.3기념일은 다른 기념일보다 격이 낮다”(윤석열대통령의 제주 4.3기념일 미참석에 대한 옹호발언) 태영호 의원의 2가지 발언은 "백범 김구 선생이 김일성의 통일 전선 전략에 당했다"는 것과 '제주4·3사건은 북한 김일성 지시로 촉발'되었다는 요지이다. 문제는 위 4가지 발언이 과연 “국민의 힘” 두 의원을 징계해야 할 대상이 되는가 하는 것과 징계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한국의 우익 정당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것인가? 이다. 첫째 국회의원으로서 소신을 말하는 것은 국회의원이기 이전에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양심의 자유를 표현하는 것이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표방하는 정당으로서 소속의원의 양심의 자유까지 박탈하고자 하는 행태에 동의하기 어렵다. 둘째 발언의 내용이 우익의 정당에서 징계 받을 이유가 없다. 1. 많은 국민은 5.18정신을 헌법전문에 포함은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