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통일전략학회 학회지『통일전략』제13권 제2호(2013. 4. 30), pp.41-74에 게재된 정천구 교수님의 글입니다.지금과 같이북한문제를 남북대화 위주로 진행된다면 북한의 조석변개(朝夕變改 )와 같은 정책에 남북문제를 근본적으로 풀어 갈 수가 없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우려입니다.이 부분에 대한 분석과 해를 실었습니다.내용이 길어서 4회로 나누어 계재를 합니다.글쓴이 정천구 박사 /전 영산대학교 총장[요약]북한의 핵실험과 연이은 핵위협행위는 한국통일정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박근혜정부의 한반도신뢰프로세스 대북정책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통일정책에 따라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남북대화가 진전되면서 그 동안 한국에서는 통일담론보다는 평화담론이 우세하여 통일은 뒤로 하고 분단관리만을 위한 남북한관계에 치중하였다. 그 결과 국민의 통일의지는 크게 약화되었고 통일에 모아져야 할 국민의 에너지는 남남갈등으로 연소되고 있다. 또한 통일정책에서 벤치마킹해야 할 독일식 흡수통일방안을 정책에서 제외시켰다. 분단국인 한국에게 통일은 레종데트르(존재이유)인 바 박근혜 정부 통일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통일정책을 상위에 두고 대북정책은 통일정책의 큰 틀에서
5월 13~14일 한국군과 미군은 동해상에서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호가 참가하는 기동훈련을 실시하였다. 북한은 이를 북침훈련이라고 맹비난했으나 니미츠호의 참여는 북한의 3차 핵실험에 이은 서울/워싱턴 핵 불바다 위협 등에 대한 대응이다. 북한이 불러온 것이다.핵위협에 대한 군사적 대응전략은 미사일방어기술이 완벽하지 못한 현재로는 억지전략 밖에 없다.방어 전략은 공격이 발생했을 때 대응하는 것이지만 억지전략은 공격자체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상대방의 공격의지 자체를 꺾어 놓는 전략이다. 적이 공격을 통해 얻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익보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입을 손실이 훨씬 클 것이라고 판단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키신저는 억지전략의 3가지 요건으로 공격을 받았을 때 반드시 보복한다는 확고한 의지, 충분한 보복능력, 그리고 이런 의지와 능력을 상대방에게 알리는 커뮤니케이션을 들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5월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양국이 북의 핵위협에 결코 굴하지 않을 것이며 “북한은 남한에 대한 어떠한 도발에도 대가를 치를 것”이라는 분명한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북한당국에 전달했다. 도발로 얻을 것이 없으며 오히려 큰 손해를 볼 것이
〈금강경〉읽으면 탐진치 닦고 청정해져금강경 공부하기(개정판), 정천구 지음/작가서재 펴냄/1만5천원 백성욱 박사에게 〈금강경〉 배워몸과 마음으로 익혀야 참공부실제 삶에 적용되게 쉽게 해설32품을 8개 장으로 나눠 설명 “금강경은 반야부 핵심을 잘 요약한 경전입니다. 금강경을 읽는 사람은 자신이 기원정사 대법회에 1,250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해 설법을 듣고 있다는 마음으로 독송하면 좋습니다. 그런 마음으로 금강경을 읽으면 재앙이 소멸되고 깨닫는 마음으로 살게될 것입니다.”이 책의 저자 정천구 서울디지털대 정치행정학과 석좌교수는 前 동국대 총장을 지낸 故 백성욱 박사에게 〈금강경〉을 배웠다. 항상 의심나는 점이 있다면 선생님을 직접 찾아가 법문을 들을 정도로 꾸준히 공부했다.저자는 이 책에서 “불교수행방법으로 금강경을 날마다 독송하는 이유는 읽을때마다 느끼고 깨닫는 바가 늘 새로워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이 책의 제목인 ‘금강경 공부하기’란 〈금강경〉을 몸과 마음으로 실천하여 경의 가르침을 스스로 체득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저자가 오랫동안 해온 것처럼 말이다. 여기서 ‘공부’의 사전적 의미는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그러나 원래의 의미는 국
21세기 사회현상과 복잡계 이론 정천구 (서울디지털대 정치행정학과 석좌교수) 21세기에 우리가 경함한 여러 정치, 사회현상은 전통적 이론으로 설명하고 대처하기 어렵다. 2002년 월드컵 거리 응원의 전국적 범위의 확산, 촛불집회의 열기, 그리고 2002년 말 노무현 후보를 당선시킨 대통령선거를 비롯한 여러 번의 선거 결과와 멀리 중동 여러 나라에서 벌어진 자스민 혁명 등은 많은 전문가들의 예측을 벗어났다. 21세기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세계는 복잡하고 역동적어서 기존의 정태적인 분석이론의 설명한계를 벗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들을 설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패러다임으로 복잡계(複雜系) 이론이 각광받고 있다. 카오스 이론과 함께 복잡계 이론의 중심에 프랙털 이론이 있다. “영국 해안선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1975년 “자연의 프랙털 기하학(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이란 논문에서 프랙털 이론의 창시자 만델브로트(Benet Mandelbrot)가 제시한 질문이다. 영국 해안선의 길이는 200마일 단위로 잴 때보다 25마일 단위로 잴 때, 그리고 단위가 적어짐에 따라 커진다. 그 이유는 울퉁불퉁한 해안선의 모양
2012년 10월 14일 SDU 정치행정학과 리더십 아카데미강의 정천구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 1. 머리말“위기 상황에서 빛나는 최고의 배(ship)는 리더십”이라는 말이 있다. “폭풍우를 만난 배는 선장의 리더십에 따라 침몰할 수도 있고 무사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위기상황에서 빛을 발하는 것이 리더십”이라는 것이다(배명복 2012). 정치적 리더십을 선장의 역할에 비유하는 것은 그리스시대부터이다. 정부(government)라는 말은 원래 키잡이, 조타수, 또는 방향타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그리스어 퀴베르네테스(kybernetes)에서 비롯되었다. 위기일수록 리더십과 선장의 비유는 잘 들어맞는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리더십의 차이로 나라의 운명이 달라진 수많은 예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빠른 시간 내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고 세계 10위권의 경제 강국에 진입했고 IT, 조선, 철강 등 많은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이루어낸 자랑스러운 성과를 달성했다. 그러나 분배와 복지를 둘러싼 경제적 갈등과 사회적 갈등, 노ㆍ장ㆍ청(老壯靑)년 사이의 세대갈등, 대북정책을 둘러싼 남남갈등 등이 너와 나를 가르는 진영논리에 휩싸여 있다
정천구 박사서울디지털대학교 정치행정학과 석좌교수금강신문 제457호 2012. 4. 17(화) 19면불자들이 독경하는 〈반야심경〉은 “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으니 색은 곧 공이며 공은 곧 색이다(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라 하고 원효대사는 “둘을 융합하였으나 하나가 아니다(融二而不一)”라고 한다. 성스러운 말씀이지만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명제(命題)라고 생각하기 쉽다. 서양논리학으로 보면 그렇다. 위의 명제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초를 세운 서양논리학의 동일율(同一律)과 모순율(矛盾律)에 어긋난다. “A는 A”이지(동일율) “A이면서 동시에 비(非)A가 될 수 없다(모순율)”는 것이다. 상반된 명제들 중에서 하나를 인정한다면 다른 하나는 부정되어야지 어떻게 양쪽을 다 받아들일 수 있는가? 둘을 융합하면 하나이지 왜 하나가 아닌가? 이런 의문들이 제기된다.그래서 불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양논리학뿐만 아니라 불교논리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서양논리학은 변하지 않는 실체가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A는 계속 A이고 A가 아닌 B가 되는 것을 모순으로 보는 것이다. 그래서 서양의 논리학은 변화가 적은 세계, 단순한 세계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