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2 (화)

  • 흐림동두천 22.9℃
  • 흐림강릉 21.7℃
  • 서울 22.1℃
  • 흐림대전 25.1℃
  • 흐림대구 27.5℃
  • 박무울산 23.5℃
  • 흐림광주 28.5℃
  • 부산 24.0℃
  • 구름많음고창 28.6℃
  • 구름많음제주 31.4℃
  • 흐림강화 21.8℃
  • 흐림보은 23.7℃
  • 흐림금산 26.9℃
  • 구름많음강진군 28.2℃
  • 흐림경주시 23.4℃
  • 흐림거제 24.7℃
기상청 제공

뉴스

우파의 ‘무지·방관’ 보여준 KBS ‘일베’ 논란

언론에 대한 우파세력 무지·방관이 가져올 미래 언론지형 전망은 ‘흐림’

[박주연 기자] KBS 신입기자의 일베 논란이 언론에 대한 우파진영의 무관심과 빈약한 언론운동의 현실을 보여준 사례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입사 전 익명의 커뮤니티 활동 때문에 공영방송 KBS 직원들의 ‘집단 왕따’ 현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도 우파시민사회는 개인적 비판 외에는 이 문제에 대한 별다른 문제제기가 없었다.

최근 나라사랑실천운동 등 일부 시민단체가 “일베 회원이었다는 이유로 언론노조 KBS본부 등이 퇴출을 주장하는 것은 인권탄압”이라며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접수한 것이 거의 유일한 움직임이었다.

좌파진영 대표적인 인터넷 매체 시민기자 출신으로, 문창극 왜곡보도로 기자 상까지 수상한 KBS 홍모 기자가 입사 때 한 “면접에 철저히 거짓말 준비해서 갔다” 등의 발언이 알려졌지만 ‘일베 기자’와 달리 이슈화가 되지 않는 것도 우파시민사회의 이런 분위기 탓도 있다는 지적이다.

박한명 미디어비평가는 “‘진영논리에 따라 편을 들어야 한다’는 게 아니라 일베 기자 문제는 우파에서도 과연 이번 논란의 본질이 뭔지 문제제기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고, KBS와 언론노조가 가진 근본 문제와 관련해 이슈화할만한 사안이었다”면서 “조직적인 좌파진영과 달리 우파진영은 방송사의 편파 보도 등에 대한 일시적이고 개인적 분노 표출과 단발성 시위에만 그칠 뿐 편파보도를 바로잡을 조직적이고 지속가능한 언론개혁운동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물론 현실적인 어려움이 가장 커 보인다. 우파시민사회에 언론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공영방송 개혁 문제를 제기할 전문 활동가들이 전무하다시피 한 것이 큰 원인으로 꼽힌다.

한마디로 언론과 방송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나서지 않는 측면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문제에 대한 시민사회의 전체적인 공감대가 없으니 소수 인사가 사재를 털어 개혁운동에 나서더라도 재정 문제로 곧 중단되는 현실이 되풀이 되고 있다.

시민사회가 언론개혁과 감시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인력과 활동가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이를 위해선 재정의 뒷받침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공정언론시민연대 등의 언론감시단체가 재정적 어려움 등 현실적 한계에 부딪혀 사실상 활동을 중단한 것도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다.

좌파진영이 언론에 대한 중요성을 일찌감치 인식하고 각종 언론단체와 기구를 조직하고 언론감시활동을 꾸준히 펼치고 있는 것과는 하늘과 땅 차이의 수준인 셈이다.

중도우파성향의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의 한 관계자는 “과거에 우리도 미디어 감시단도 만들어 간사도 두고 대학생들이 활동한 적이 있었지만 활동 방향을 설정하고 잡아줄 전문가가 없다보니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오히려 인력 낭비라는 측면이 있었다”면서 “우파 쪽에 미디어에 관해 아는 분이 없는 것 같다. 미디어가 중요한지는 알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우리 단체는 미디어는 다루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한명 미디어비평가는 “정부 차원의 미디어 개혁과 시민사회에서 해야 할 개혁운동이 따로 있는데 양쪽 모두 무관심과 재정 등의 현실적 어려움으로 거의 전무한 상황”이라며 “언론에 단지 분노한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꼬집었다.

출처

뉴스파인더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