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은 “북한이 만나지 않겠다고 해도 괜찮다며 그럴 경우 최대 압박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16일 일방적인 핵 포기만 강요하는 대화에는 흥미가 없다며
북미 정상회담에 응할지 재고려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만나고 싶다면 미국은 준비가 돼 있겠지만 만약 만나고 싶지 않다고 해도 괜찮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에 미국은 최대 압박 캠페인을 계속한다는 것이다.
샌더스 대변인은
샌더스 대변인은
북한이 핵 포기만 강요하는 대화에 관심 없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이는 충분히 예상했던 일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힘든 협상을 준비하는 것에 매우 익숙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일들은 일반적으로 종종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놀랍지 않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또 북한 비핵화 모델이 이른바 ‘리비아 모델’이라는 일각의 분석을 일축했다.
백악관은 또 북한 비핵화 모델이 이른바 ‘리비아 모델’이라는 일각의 분석을 일축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미국의 방식은 트럼프 방식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적합하다고 보는 방식으로 일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미국이 ‘리비아식 모델’을 추구하느냐는 질문에는
미국이 ‘리비아식 모델’을 추구하느냐는 질문에는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리비아 모델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샌더스 대변인은 리비아 방식이 논의의 일부분이 아니라며
미국이 사용하는 모델이라고 인지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리비아 모델) 관련 발언들이 있었다는 것은 알지만
이어 (리비아 모델) 관련 발언들이 있었다는 것은 알지만
(북한 비핵화를 위해) 정해진 하나의 방식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이어 미국은 100% 확신을 갖고 있다며 여러 차례 말했듯 트럼프 대통령은 최고의 협상가라고 덧붙였다.
샌더스 대변인은
샌더스 대변인은
미-북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줄어 들었느냐는 질문에 회담이 여전히 열리길 바란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