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2.7℃
  • 흐림강릉 22.7℃
  • 구름조금서울 24.2℃
  • 흐림대전 22.3℃
  • 흐림대구 24.3℃
  • 구름많음울산 21.2℃
  • 흐림광주 21.9℃
  • 구름많음부산 19.1℃
  • 흐림고창 19.0℃
  • 흐림제주 19.2℃
  • 구름많음강화 19.9℃
  • 흐림보은 22.8℃
  • 흐림금산 16.6℃
  • 흐림강진군 19.4℃
  • 구름많음경주시 24.5℃
  • 구름많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불교소식

백고좌와 팔관회


 지난 3월 26일 부터 봉은사에서 백고좌 법회가 봉행되었다
 기사에서는 <한국 불교 중흥의 큰 원력으로 100분의 큰 스님을 초청하는 수도산 봉은사 백고좌 대법회를 봉행합니다. 백고좌 대법회는 봉은사를 대표하는 법회로써 전법과 포교를 위한 불법 홍포의 기치를  높이 들고 많은 불자들의 신심과 수행의 길잡이가 될 것 입니다.>라는 취지의 볻가 있었다.
-일정: 2023년 3월 26일 부터 매월 2, 3, 4, 5주 일요일 / 오전 11시 ~ 2025년 11월 16일(일) 총 100회

이에 즈음하여 대불총 회원 여러분께 백과좌와 팔관회에 대한 뜻을 소개 드립니다.
내용은 위키실록사전과 우리 역사넷에서 가져왔습니다.
아래 백고좌의 의미와   지금의 백고좌를 잘 살피면서 불심을 키웁시다.

개 설

백고좌법석(百高座法席)은 사자좌(獅子座) 100자리를 만들고 고승 100명을 초청해 설법을 듣는 법회로,

국가의 내란과 외우 등을 없애려는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인왕경』에 의지하는 법회이기 때문에 인왕도량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백고좌법석은 『작법절차』에 따라 행해졌는데,

100명의 법사를 청해 하루에 2회씩 경전을 강설하고 염송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라시대인 551년(신라 진흥왕 12)에 승통(僧統)인 혜량(惠亮)에 의해 처음으로 개설된 이래,

불교를 숭상한 고려시대에는 천변지괴를 물리치려는 목적으로 100회 이상 개최되었다.


인왕도량으로 개최된 고려시대의 백고좌법석은

‘호법이 곧 호국[護法則護國]’이라는 사상에 근거해 밀교식 소재도량으로 시행된 대표적인 국가 행사였다.

그러나 억불숭유를 정책 기조로 삼은 조선시대에는 개설된 예가 보이지 않는다.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B%B0%B1%EA%B3%A0%EC%A2%8C%EB%B2%95%EC%84%9D(%E7%99%BE%E9%AB%98%E5%BA%A7%E6%B3%95%E5%B8%AD)


한국문화사 의 설명

11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제1장 불교의 수용과 신앙의 시작

4. 국가적 불사와 법회

    백고좌회와 팔관회

     

김남윤

삼국에서 열었던 불교 법회는 백고좌회와 팔관회로부터 시작되었다. 551년 고구려 승 혜량이 거칠부를 따라 신라로 왔는데 진흥왕은 혜량을 승통으로 삼고 처음으로 백좌강회(百座講會)와 팔관지법(八關之法)을 설하였다고 한다. 그렇다면 고구려에서도 이러한 법회를 설행하고 있었을 것이다.


백좌강회란 인왕백고좌회(仁王百高座會)로 100명의 고승을 청하여 『인왕반야경(仁王般若經)』을 강설하는 법회를 말한다.

곧, 전란 등으로 나라가 위태로울 때 불보살의 상을 모시고 대중이 함께 100명의 법사를 청하여 반야바라밀다의 강설을 듣고 공양하면, 국토에 있는 100부 귀신과 그 권속이 경을 듣고자 국토를 수호해 줄 것이라는

『인왕반야경』의 내용에 근거한다.

“반야바라밀다는 국토를 수호한다.”고 하는 반야의 궁극 목적은 중생 세계를 청정하고 안락한 진리의 세계로 전환하려는 데 있으며

보살은 그 종교적 목적을 위해 수행하는 자이고 국왕은 그것을 정치 이념으로 삼는다.

그래서 『인왕경』에 윤왕과 천왕이 보살의 수행 계위에 배치되어 있다.


신라에서는 백고좌회를 처음 진흥왕이 설행한

이래 613년(진평왕 35) 수나라 사신이 왔을 때에도 황룡사에 백고좌회를 설하고 원광에게 경을 강설하게 하였다.

636년 선덕여왕이 병들자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하여 『인왕경』을 강설하고 100명을 승려로 출가하게 하여 치료하였다. 왕의 질병에도 백고좌를 설행한 것은 호국뿐만 아니라 복을 지키고 어려운 일에도 이 경을 강하라는 『인왕경』의 내용에 따른 것이었다. 백고좌회는 황룡사에서 행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통일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팔관지법은 팔관재(八關齋)를 말한다.

팔관재는 불교의 계율에 입각한 의례로서 재가인들에게 한 달에 엿새만이라도 청정하게 팔계를 지킬 것을 권하는 것이다.

팔계는 불살생(不殺生)·불투도(不偸盜)·불사음(不邪淫)·불망어(不妄語)·불음주(不飮酒) 등 여덟 가지 계율을 말한다.

육재일(六齋日)은 본디 인도 전래의 풍습에 악귀가 사람을 쫓아다니며 목숨을 빼앗고 다치게 하는 불길한 날이므로 이날이 돌아오면 목욕하고 단식하며 선행을 하여 불길함을 피하고자 하였던 것인데,

그 풍습이 불교에 들어와 재가인들이 팔계를 지키는 날이 되었다고 한다.


팔관재를 지키면 삼악도(三惡道)에 떨어지지 않고 불법을 배워 미륵회상에서 만난다는 등의 큰 공덕이 설해져 있다. 이 때문에 원시 불교 이래로 팔관재가 널리 행해졌다.


또 팔관재에서는 사천왕이 인간 세계를 관찰하여81)

8일·23일은 사자를 내려 보내고

14일·29일은 태자를 내려 보내고

15일·30일은 사천왕이 직접 관찰한다고 한다.


제석천에 보고하는데,

제석천은 인간이 선행과 지계에 힘쓰고 있다고 하면 아수라중(阿修羅衆)이 감소하고 천중(天衆)이 증가할 것이라고 크게 기뻐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심히 걱정한다고 한다.

곧, 제석천을 기쁘게 하는 법회가 팔관재였다.


혜량이 처음 설치한 팔관지법은

572년(진흥왕 33)에 전쟁에서 사망한 병졸을 위해 팔관회를 설하여 이레 만에 파하였다고 전한다.


날짜와 설치 목적이 불교 본래의 팔관재와는 달리 전사자의 명복을 비는 법회로 성격이 바뀌어 있다.

이것은 제석천에 대한 신앙과 연결되어 전사자의 생천(生天)을 비는 뜻으로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미륵 신앙과 연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팔관재는 중국 북조에서 위령제로 설행되었고 남조에서는 미륵 신앙과 관련되어 유행하고 있었다.82)

신종원, 『신라 초기 불교사 연구』, 민족사, 1992, 196∼197쪽.


신라의 팔관회는

망자 추선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는 남조의 팔관재가 모델이었다고 한다.

고구려에서 설행되던 위령제 성격의 팔관재가 신라로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후일 고려에서 팔관회는 연등회와 함께 태조의 훈요 10조(訓要十條)에 언급되어 국가적으로 행해졌다.

팔관회는 ‘천령(天靈)과 오악(五嶽)·명산(名山)·대천(大川)·용신(龍神)을 섬기고자 하는 것’이었고

‘부처를 공양하고 신을 즐겁게 하는 모임(供佛樂神之會)’으로 나타나 있다.

곧, 부처와 신령을 함께 섬기는 성격의 법회로 계승되고 있었다.


인왕백고좌회는 부처와 불법을 받들어 국가 수호를 비는 의례로서 불교 수용 이전의 제천 대회(祭天大會)와 같은 성격으로도 볼 수 있다.

팔관회는 전사자의 명복을 비는 법회로서 전통 신앙과 습합되어 행해졌고

궁극적으로는 미륵 신앙에 연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11_0030_0040_0030


[대불총 성명서] “국민의 힘” 정체성이 의심된다. [대불총 성명서] “국민의 힘” 정체성이 의심된다. 최근 “국민의 힘”의 김재원 의원과 태영호 의원의 발언을 문제 삼아 당내에서 징계의 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에 우려를 표한다! 김재원 의원의 발언은 2가지이며 그 요지는 하나는 사석에서 “5.18정신을 헌법전문에 포함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4.3기념일은 다른 기념일보다 격이 낮다”(윤석열대통령의 제주 4.3기념일 미참석에 대한 옹호발언) 태영호 의원의 2가지 발언은 "백범 김구 선생이 김일성의 통일 전선 전략에 당했다"는 것과 '제주4·3사건은 북한 김일성 지시로 촉발'되었다는 요지이다. 문제는 위 4가지 발언이 과연 “국민의 힘” 두 의원을 징계해야 할 대상이 되는가 하는 것과 징계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한국의 우익 정당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것인가? 이다. 첫째 국회의원으로서 소신을 말하는 것은 국회의원이기 이전에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양심의 자유를 표현하는 것이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표방하는 정당으로서 소속의원의 양심의 자유까지 박탈하고자 하는 행태에 동의하기 어렵다. 둘째 발언의 내용이 우익의 정당에서 징계 받을 이유가 없다. 1. 많은 국민은 5.18정신을 헌법전문에 포함은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