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활불活佛-백성욱 박사 프롤로그 내가 백성욱白性郁 박사를 알게된 것은 60년 동국대학교 학생이 되면서부터다. 나는 고등학교를 경기도 용인에서 58년에 나왔지만 6,25를 겪은 뒤 집안 형편이 여의치 않아 바로 대학 진학을 못하고 한해를 집에서 책이나 보고 영어 단어를 외면서 보낸 뒤 이듬해(60년) 4월에 동국대 불교대학 철학과에 입학 하였다. 고등학교 친구들이 불교대학을 간다고 하니까 “허구 많은 대학을 두고 왜 하필 목탁대학 이냐”며 빈정 대기도 하였지만, 고3 담임이셨던 윤용성 선생님이 “송군 ! 철학을 하려면 동국대 불교대학 철학과를 가게. 동양 철학이던 서양 철학이던 불교사상과 인도철학을 모르고는 모두 헛것이야. 그러니까 불교대학에 있는 철학과가 적격이지”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 머리속에 밖혀 있어서 누가 뭐래도 불교대 철학과에 간다는 생각은 요지부동 이었다. 당시만 해도 조선시대 숭유억불의 관념이 일반인들에게 아직도 남아서인지 스님네를 보면 아이들이 “중중 까까 중”하며 뒤에서 하대하고 업신여기는 풍조가 적지 않았다. 그러니까 고등학교 친구들이 ‘목탁대학’ 간다고 놀릴만 하였던 것이다. 훗날 동대를 다니면서 안 일이지만 당시 백성욱 총장은
‘설’ 수상 ‘설’ -설에도 긴 설움이 있었다- 올해 2월 5일은 ‘설’이다. 다 아는 일이지만, 설은 음력 정월 초하루를 일컫는 말로 한 해가 시작되는 첫날이다. 그래서 한자로는 원일元日 원단元旦 원정元正 원조元朝 연시年始 연수年首 정조正祖 세수歲首 등이라 쓰고 있다. 설날의 ‘설’은 순 우리 말로서 ‘설다’ '낯설다‘의 ’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민족문화대백과). 즉 새해 첯 날이 낯설기 때문에 ’설‘이라는 것이다. 우리 전통사회에서 설명절은 설날 하루에 그치지 않고, 전날(섣달 그믐밤)부터 시작하여 각종 놀이와 행사로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축제이기도 하다. 설날에는 온 가족이 모여 조상(4대까지)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성묘도 한다. 아이들은 어른 들을 찾아 뵙고 절을 올려 새해 인사를 드리는데, 이를 ’세배‘라 한다. 또 세찬歲饌 으로는 떡국을 먹는다. 우리의 설은 그 유래도 오래고 또 수난受難도 많았다. 대개 학자들은 설의 유래를 중국의 사서史書인 수서隋書와 구당서舊唐書의 기록에서 찾고 있다. 그에 따르면 (신라에서는) 매년 정월 원단에 왕이 연회를 베풀고 여러 하객과 관원들이 모여서 서로 경하하며, 일월신日月神에게 절을 드린다고 하였다. 이로써
우분투Ubuntu - 네가 있어 내가 있다 송 재 운 우분투Ubuntu-네가 있어 내가 있다. 이는 남아프리카 지역에 사는 코사족과 졸루족 등 수백개의 부족들이 사용하는 말 이라고 한다. 인터넷의 어느 까페에서 공개한 말인데 이에 얽힌 사연이 감동적이어서 여기 소개해 본다. 서양의 어떤 한 인류학자가 아프리카 마을의 한 부족 아이들에게 께임을 제안했다. 그는 근처 나무에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매달아 놓고, 뛰어 가서 거기에 먼저 도착한 사람이 그 음식을 다 먹을 수 있다고 말하고 “시작!”이렇게 외쳤다. 음식을 놓고 아이들에게 경쟁을 붙인 것이다. 그러나 아이들은 그가 기대한 것처럼 서로 뛰어가면서 경쟁을 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서로 손을 잡고 다같이 가서 그 음식을 나무에서 내려다 함께 먹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인류학자가 아이들에게 물었다. “너희들중 한명이 먼저 가면 그 먼저 간 사람이 음식을 다 차지 할 수 있는데 왜 모두 같이 갔지?” 그러자 아이들은 “우분투Ubuntu!" 이렇게 외치며 ” 그렇게 하면 다른 사람들이 모두 슬픈데 어떻게 한 사람만 행복 할 수 있나요?“라고 대답하였다. Ubuntu는 아프리카 코사(Xhosa)어로 “네가 있
송재운 박사 / 대불총 공동회장, 동국대학 석좌교수박근혜 대통령은 어찌 보면 민본주의 정치가다.민본(民本)이란 말은 중국 역사책 서경(書經) 하서(夏書 - 하나라 역사기록)의 “民有邦本(민유방본)”에서 유래한 것이다. “민유방본”이란 “백성(국민)은 나라의 근본”이란 뜻이다. 오늘 날 민주주의에서 국민이 국가권력의 주체라는 점 하나를 빼면, 그 때나 이 때나 국민이 국가의 근본임엔 변함이 없다. 그런데 왜 박근혜 대통령을 민본주의자라 말하는가?박대통령의 정치신조가 “民信之”이기 때문이다. 유교 왕권정치에 있어 民은 백성(百姓)이고, 오늘 날 민주주의에서 民은 국민(國民)이다. 옛날 ‘백성’은 오늘날 ‘국민’인 것이다.그러므로 박대통령의 “민신지”는 곧 “국민의 신뢰”를 의미하는 말이다. 그리고 신뢰는 신임이라 해도 된다. 백성의 신뢰를 뜻하는 이말 “民信之”는 공자(孔子)의 말이다. 공자는 그의 제자 자공(子貢)에게 나라 다스리는 정치의 요체를 가르쳤다. 그에 따르면 정치는 국민을 충분히 먹고 살게 하고(足食), 국민이 안전하게 살도록 나라를 튼튼히 지키고(足兵), 국민의 신뢰를 쌓는 데(民信之) 있다. 足食 足兵 民信이 그것이다. 따지고 보면 오늘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