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 30송의 개요(槪要) 유식 30송 중 제1송에서 24송까지는 유식의 상(相)을 밝혔고, 25송에서는 유식의 성(性)을 밝혔으며, 26송에서 30송까지는 유식의 수행과정을 밝혔다. 제1송에서 우리들이 알고 있는 아(我)와 법(法)은 사실(事實)을 바로 알지 못하고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데, 그 변화는 식(識)을 의지해 일어나고, 그 변화를 일으키는 주체에는 3가지 식(識)이 있을 뿐이라고 했다. 우리들이 보고 듣고 맛보는 것이 사실대로 보고 듣고 맛보는 것이 아니고 각자의 식(識)에 의해 감지(感知)되는 느낌이다. 이러한 식(識)은 3가지뿐이라고 했다. 제1송에서 우리들의 마음에 3가지 식이 있음을 밝혔다. 제2송에서 이 3가지 식(識)은 이숙식(異熟識), 사량식(思量識) 그리고 요별경식(了別境識)이다. 이숙식은 종자와 결과가 다르다고 하여 이숙식이라고 하는데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고 하기도 하고, 신구의(身口意) 삼업으로 짓는 일체의 업이 종자로 아뢰야식에 저장된다는 의미로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이라고도 한다. 제3송에서, 아뢰야식이 어떻게 일체 업의 종자를 받아서 지니는지, 어디에 저장하는지, 연(緣)을 만나면 어떻게 그 종자들을 요별해서 그
此卽無漏界 不思議善常 차즉무루계 부사의선상 安樂解脫身 大牟尼名法 안락해탈신 대모니명법 이것이 곧 번뇌가 없는 무루(無漏)의 경계이며 부사의(不思議)한 선(善)이며, 상(常)이고, 안락(安樂)한 해탈신(解脫身)이고, 대모니(大牟尼)이니, 이를 법신(法身)이라 한다. 차즉무루계(此卽無漏界) 부사의선상(不思議善常) 차즉무루계(此卽無漏界)의 차(此)는 29송의 사이조중고(捨二粗重故) 변증득전의(便證得轉依)를 받는 말이다. 사이조중고(捨二粗重故), 즉 번뇌장와 소지장을 여의였으므로 전의(轉依)를 증득해 미세한 번뇌마저 완전히 소멸하였으므로 이것을 곧 더 이상 번뇌가 없는 경계(境界)라고 하여 무루계(無漏界)라고 했다. 무루계(無漏界)의 상(相)은 부사의선상(不思議善常)하고 안락해탈신(安樂解脫身)하며 대모니(大牟尼)인데 이름하여 법신(名法)이라 한다고 했다. <대모니명법(大牟尼名法)이란 모니(牟尼)는 적묵(寂默)의 뜻으로 언설동작(言說動作)과 심연분별(心緣分別)을 여읜 것을 말하고 법(法)이란 법신(法身) 또는 법성신(法性身)을 말한 것으로 이를 안락해탈신(安樂解脫身) 또는 대모니신(大牟尼身)이라 한다> 부사의선상(不思議善常)은 선(善)의 부사의성과 상(常)
無得不思議 是出世間智 무득부사의 시출세간지 捨二粗重故 便證得轉依 사이조중고 변증득전의 얻을 것이 없는 곳에 부사의(不思議)한 일이 있으니, 이것이 곧 출세간지(出世間智)이다. 두 가지의 거칠고 무거운 것을 버렸기 때문에 곧 전의(轉依)를 증득했다. 제28송에서 離二取相故 智都無所得을 설명하면서, 자기 자신의 잘못된 성품[탐진치만의견(貪瞋癡慢疑見)]을 찾아 소멸하고, 자기가 보고 듣고 하는 바에 따른 잘못된 견해를 끊임없이 찾아 소멸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어느 듯 나와 남이 둘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 하나가 되어 서로 의지하고 살아가는 대상임을 알게 되었으니 너의 안녕이 나의 안녕이 되고 나의 불행이 너의 불행이 될 수 있는 이치를 알게 되었으니 너가 나에게 얼마나 소중한 사람임을 알게 되었다. 그러하니 얼마나 네가 나를 알아주고 너에 의해 내가 득을 볼 수 있느냐는 문제가 아니라, 내가 너를 얼마나 알아주고 너에게 득을 베풀 수 있느냐는 문제로 돌아서게 되니, 너로부터 득을 봄으로서 기쁨이 오는 것이 아니라 너를 위해 덕을 베풂으로서 우리의 행복이 있음을 깨닫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것은 너와 나를 분별하여 경쟁 관계에 있
若時於所緣 智都無所得 약시어소연 지도무소득 爾時住唯識 離二取相故 이시주유식 이이취상고 만약 소연경(所緣境)을 대할 때 조금도 소득심이 없는 지혜를 얻었다면, 이 때 유식성에 머물게 된다. 이것은 이취(二取)의 상을 여의었기 때문이다. 소연(所緣)은 능소(能所)의 소(所)이니 어떤 상대를 대할 때 조금도 득을 보고자 하는 마음이 없는 지혜로운 마음으로 대하는 것은 능취와 소취, 능과 소의 상을 여의었기 때문이니, 이 때 유식성에 머무는 것이 된다. 능소의 상을 여의었다는 의미는 제7 말나식의 아상(我相), 아소(我所), 아애(我愛), 아만(我慢)을 여의었다는 뜻이고, 이는 곧 탐진치 삼독을 여의었다는 말이니 자기를 위한 소득심이 모두 사라졌다는 의미이다. 금강경 제5송에서 범소유상(凡所有相) 개시허망(皆是虛妄)하니 아상(我相)과 법상(法相)을 모두 여의고,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일체 소득심을 여의면 즉견여래(卽見如來) 곧 원성실성을 보리라. 이 송에서도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을 여의고 아공(我空) 법공(法空)을 성취할 것을 말씀하신다. 도무소득(都無所得)은 반야심경에서 “색도 없고 수상행식도 없으며”에서 시작하여 “고집멸도도 없고 지혜도 없으며 얻을 것도
現前立少物 謂是唯識性 현전입소물 위시유식성 以有所得故 非實住唯識 이유소득고 비실주유식 눈앞에 작은 물건을 하나 세워 이것이 유식성(唯識性)이라고 한다면 이는 소득심이 있는 것이므로 유식에 진실로 머무는 것은 아니다. 눈앞에 어떤 작은 물건이 나타났다고 인식하고, 그 인식하는 마음을 유식성(唯識性), 즉 원성실성이라고 말한다면, 이 유식의 작용에는 소득(所得)을 구하는 마음이 있는 것이므로 실(實)다운 유식(唯識)에 머무는 것은 아니다. 안이비설신(眼耳鼻舌身) 앞에 아무리 작은 색성향미촉(色聲香味觸)이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그를 구하는 마음 내지 의지하고자하는 마음이 일어나면 그것이 곧 소득심(所得心)이다. 소득심이 있으면 사량심(思量心)이 작용하여 변계소집(遍計所執)이 일어나게 된다. 소득심에는 제7 말나식, 즉 사량심이 있고, 사량심에서 변계소집이 작용하게 된다. 변계소집이 작용하는 마음에서는 실다운 유식이 머물 수 없으니 변계소집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는 말씀이다. 그러면 눈앞에 있는 작은 물건을 어떻게 보는 것이 유식성(唯識性)일까? 작은 물건이 있다고 보는 것은 본래 내 마음이 보는 대로 그 물건이 있는 것인데 탐심에 가리어 그 물건이 있는 대로 내가 본
乃至未起識 求住唯識性 내지미기식 구주유식성 於二取隨眠 猶未能伏滅 어이취수면 유미능복멸 또한 유식(唯識)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는데 유식의 실성(實性)에 머물고자 한다면 2취(二取)가 수면(隨眠)에 들어가 오히려 능히 복멸(伏滅)할 수 없을 것이다. 내지미기식(乃至未起識) 구주유식성(求住唯識性) 내지미기식(乃至未起識) 중 ‘내지(乃至)’는 앞 25송 - 차제법승의(此諸法勝義) 역즉시진여(亦卽是眞如) 상여기성고(常如其性故) 즉유식실성(卽唯識實性)에 ‘이어서 그리고 또’ 라는 의미이고, ‘미기식(未起識)’은 식이 아직 일어나지 못했는데, 혹은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니, 이 식은 곧 앞 구(句)에 나오는 유식(唯識)을 말함이니, 유식이 아직 일어나지도 않았는데 유식성(唯識性)에 머물고자 하면, 어이취수면(於二取隨眠) 유미능복멸(猶未能伏滅) 이취(二取)인 능취(能取)와 소취(所取)의 종자가 제8 아뢰야식에서 수면(睡眠)에 들게 되어 오히려 이취(二取)를 복멸(伏滅)할 수 없게 된다는 말이다. 제25송에서 유식실성이 곧 진여이고 항상 여여하게 존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제26송에서는 그렇다고 하여 수자(修者)가 유식실성에 곧바로 머물고자하면 제8 아뢰야식에 있
제 25 송 此諸法勝義 亦卽是眞如 차제법승의 역즉시진여 常如其性故 卽唯識實性 상여기성고 즉유식실성 이것이 모든 법의 승의(勝義세간의 이치보다 수승한 깊고 오묘한 의리(義理))이고 또한 진여(眞如)이다. 그것의 본성은 항상 여여(如如) 하기 때문에 유식(唯識)이 곧 실성(實性)이다. 乃至 “이것이 모든 법의 승의(勝義 세간의 이치보다 수승한 깊고 오묘한 의리(義理)를 승의라 한다)이다.” 중 ‘이것이’가 제24송의 “후유원이전(後由遠離前) 소집아법성(所執我法性), 최후는 앞에서 설한 아(我)와 법(法)에 집착하는 성질을 멀리 여의었기 때문에,”를 받는 말이니, 말을 붙이면, 최후는 앞에서 설한 아(我)와 법(法)에 집착하는 성질을 멀리 여의었기 때문에 이것이 제법승의(此諸法勝義)이고 또 역시 이것이 곧 진여이다가 된다. 앞의 구절에서 ‘아(我)와 법(法)에 집착하는 성질을 멀리 여의었기 때문에’라는 말씀은 오별경 수행을 통해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을 성취하여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을 이미 여의었다는 말씀이니 전생에서부터 가지고온 ‘나’ 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행하던 성질이 180도로 변하여 완전히 위타(爲他)하는 사람이 되었다는 말씀이다. 제법승의(諸法勝義)란
初卽相無性 次無自然性 초즉상무성 차무자연성 後由遠離前 所執我法性 후유원리전 소집아법성 처음은 곧 상(相)이 무성(無性)이요, 다음은 자연성(自然性)이 무성(無性)이다. 그리고 최후는 앞에서 설한 아(我)와 법(法)에 대한 집착하는 성질을 멀리 여의었기 때문이다. 초즉상무성(初卽相無性) 처음, 상(相)이 무성(無性)이라고 한 것은 상(相)은 변계소집(遍計所執)하여 일어나는 모습인데, 이렇게 일어나는 모습이 무성(無性)이란 말이다. 이는 금강경 제5송에서 제상비상즉견여래(諸相非相卽見如來)에서 제상(諸相)이 변계소집된 상(相)이고 비상(非相)이 무성(無性)이다. 그리고 32송에서 일체유위법(一切有爲法) 여몽환포영(如夢幻泡影)이라고 한 말씀이 변계소집의 상(相)이다. 그리고 반야심경에서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이라고 한 말씀도 상무성(相無性)과 같은 뜻이다. 현대사회의 문제는 모두 변계소집성이 만연되어 왔기 때문에 누적된 문제이다. 이 변계소집은 개인의 이기주의에서 비롯된 것이고, 국제적, 국내적 사회문제의 근본 원인이 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가정의 불화와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심각하게 바라보고 이해해야할 성품이다. 위에서 이미 설
한국정치에 마오쩌둥의 문회혁명 때 선동구호인 (조반유리(造反有理)는 다시 시작되었나? (韓國政勢分析) 모택동이 문화대혁명 때, 홍위병과 학생들을 부추기기 위해서 내건 선동구호로 조반유리(造反有理)가 있다. 마오쩌둥이 권력투쟁 과정에서 政敵(정적)들을 묘하게 때려잡기 위해, 젊은이의 반항을 합리화시켜 주는 이 말을 써서 큰 효과를 보았다. 이 「造反有理」는 문혁 기간 중에 많이 유행되었으며, 1960년대 후반 세계적으로 퍼져나갔던 학생운동의 슬로건으로 자주 들먹여졌다. 문혁의 불길이 타오르기 몇 달 전에 모택동은 이런 말을 해서 주목을 끌었다. 『중앙 기관이 좋지 않은 일을 하고 있다면, 우리들은 지방이 造反(조반)해서 중앙으로 進攻(진공)하도록 호소해야 한다. 각지에서는 많은 孫悟空(혁명가 홍위병=손오공)을 보내서 천궁(天宮)같은 중앙정부를 소란하게 해야 하고 인민의 낙원을 위해 투쟁해야 한다. 』 마오쩌둥이 지적한 천국은 유소기, 등소평 등이 실권파로 있던 당 중앙을 말한다. 여기서 모택동이 기대하는 「西遊記(서유기)」 속의 손오공은 전국의 중학, 대학 에서 튀어나와 전국을 휩쓸었던 홍위병일 것이다. 그런데 이 「造反有理」는 모택동의 성격과 개성, 그의 인
한변(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과 대한민국지키기불교도총연합. 북한인권단체총연합등 탈북단체들과 함께 7월 18일 13시 중앙지검 출구 앞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 강제북송 반인도 범죄로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고발 은 국제형사범죄법 위반(반인도범죄 공모), 살인, 불법체포·감금, 직권남용,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다 고 밝혔다. 본 고발을 주도적으로 실시한 한변은 경과보고와 성명서에서 강제북송 사건을 ‘반인도적 범죄’로 규정했다. 본 건은 “반인도적인 범죄의 직접적이고 최종적인 책임자는 문 전 대통령”이라며 “탈북 어민들이 정부의 합동조사 과정에서 자필 귀순의향서까지 제출했음에도, 귀순의 진정성이 없어서 북송헀다는 문 전 대통령의 주장은 사실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거짓말임이 명백히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한변 측은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살인죄 고발 근거에 대해 “어민들과 같이 탈북해서 귀순의향서까지 쓴 사람을 강제 북송한 후에는 100% 처형되고, 많은 언론들이 처형됐다고 한다”며 “문 전 대통령은 죽어도 어쩔 수 없다고 보낸 것으로 미필적 고의가 있기 때문에 살인죄로 고발하는 바”라고 설명했다. 대불총 사무총장은 모든 국민이
대한민국을 건국해주는 데 크게 이바지하고, 북-중-러의 6,25 남침전쟁 때 한구을 지원해준 미군들의 사상과는 천양지차(天壤之差)를 보이는 주한미대사들이 연거푸 한국을 망치는 공작을 해오고 있다. 따라서 이에 격분한 일부 한국인들은 신임 주한미대사인 골드버그 주한 미대사를 두고 돌로 독사를 처 죽이듯 해야 한다는 비난여론이 충천하듯 하고 있다. 은혜를 입으면 반드시 보은(報恩)을 해야 한다는 신의를 중시하는 한국인의 미풍양속에 골드버그 주한미대사는 무슨 공작을 해보이는가? 골드버그는 동성애자들을 한국에 끌고 와 한국에 동성애를 퍼뜨리기 위해 앞장서 보인다. 그는 동성애를 하는 것이 “인권과 평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의 미풍양속을 망치고 한국을 동성애천국으로 만들려고 획책하는 것이다. 미국여성은 동성애를 권장하면서 이렇게 한국에 구호를 외치고 있다. “우리의 몸은 우리의 권리이다” 미군이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일본이 항복했을 때, 미군 총사령관 맥아더장군은 일본 천황을 2차 대전의 수괴로 체포하여 재판에 회부하려고 작정하였다. 하지만 일본천항을 전범에 회부하지 못한 이유는 일본인들의 천황에 대한 숭배심 때문이었다. 당시 일본인들의 구호는 일본인들의
5,16 군사혁명을 초래한 장면장권과 비슷한 윤석열정부 작금의 한국의 항간에 떠도는 혹평(酷評)에는 윤석열정부를 두고 5,16 군사혁명을 초래한 무능한 장면정권과 비슷하다는 혹평이 충천하듯 하고 있다. 윤석열정부는 자칭 보수우익인척 하는 윤 대통령이 대통령 취임직후 전국 국민들에 가장 큰 의혹으로 인구에 회지되는 순이 1번은 지난 종선의 부정선거에 대한 진위여부(眞僞與否)이다. 尹대통령은 특명을 내려 엄정한 수사를 통해 진상을 밝혀 국민들에 보고해주는 것이 급선무였지만, 윤석열정부는 검찰공화국 소리를 들으면서 도대체 수사를 하지 않고 있다. 더욱 기막힌 정치는 국회의 원구성도 하지 못하는 무능을 국제사회에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행위가 고의적이라면 이는 망국지배(亡國之輩)들이 대한민국을 망치는 행위라고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 부정선거의 의혹속에 국회에서 다수당이라는 고지를 점령한 당이 검수완박(檢搜完剝)을 하여 한국정치가 국제적 망신을 자초해도 아직까지 윤석열정부는 부정선거의 의혹을 파해치지 않고 있다. 허위날조라는 의혹의 사건을 가지고 번겟불에 날콩 구어먹듯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으로 몰아간 윤대통령의 검사 업적을 보여주었으면서도 부정선거는 검찰이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