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해안지역 군부대 병사들 중 남한 텔레비죤을 시청하는 병사들이 의외로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외진 해안지역에서 근무하는 군부대 병사들 중 상당수가 남한의 텔레비죤을 수시로 시청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남한 텔레비죤을 보다가 적발이 되면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되지만 10년 넘도록 군사복무를 해야 하는 젊은 병사들은 그런 위험에 아랑곳 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최근 중국을 방문한 평안남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아들이 군사복무를 하는 동안 남조선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어 힘들고 답답한 군대생활에 큰 위안이 되었다는 얘기를 여러번 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인민군 병사들이 남한 텔레비죤을 시청할 수 있는 경우는 남조선 텔레비죤 전파가 닿는 해안가 부대 중 대대나 중대본부와 멀리 떨어진 외진 지역에서 적은 수의 병사들이 근무하는 소규모 부대단위들”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북한의 해안지역과 섬에는 이런 소규모 단위부대가 수없이 많다”면서 “이런 지역에서는 남조선 텔레비죤을 부대원들이 함께 보고 서로 입단속을 하기 때문에 밖으로 새어나갈 가능성도 적다”고 덧
평양 시내 영생탑.사진-연합뉴스 제공 k092216NE-JE.mp3 00:00/00:00 앵커: 북한이 수해복구를 당창건기념일(10월10일)까지 끝내라고 다그치는 가운데 김일성 일가의 우상화물부터 먼저 복구하도록 지시해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당국이 북·중 국경지역에서 일어난 태풍 ‘라이언록’에 의한 수해 복구에 전체 주민들을 총동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우선 복구 대상이 주민들의 살림집이나 학교 등이 아닌 김일성 우상화물이어서 주민불만이 비등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19일 “중앙에서 수해복구를 쌍십절(10.10일)전에 끝내라고 다그치고 있다”면서 “하지만 피해복구 우선 대상이 김일성 관련 우상화물이어서 집 잃은 주민들의 원성이 높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쌍십절은 당국의 수해복구에 불만을 품은 북한 주민들이 당창건 기념일인 10월 10일을 일컫는 최신 은어”라며 “우상화물 복구에 내몰린 주민들이 산사람보다 죽은 사람이 먼저냐며 노동당 창건일을 쌍십절로 비하해서 부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
앵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6일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곧바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언론 성명을 채택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이 지난달 24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발사에 이어 5일 ‘노동’으로 추정되는 중거리 탄도미사일 3발을 또 다시 발사하자 유엔 안보리가 6일 오전 긴급회의를 열고 곧이어 오후 이를 규탄하는 언론 성명을 신속히 채택했습니다. 안보리는 지난 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면서 중대한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유엔 안보리 이사국 15개국이 만장일치로 채택한 이번 성명은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국제의무와 유엔 안보리 결의들은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규탄했습니다. 성명은 또 북한이 핵실험을 포함한 추가도발을 자제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한국과 미국, 일본의 요청으로 이날 소집된 회의에는 중국과 러시아 등 안보리 이사국들이 참석했고 이들 모두 북한의 거듭되는 안보리 결의 위반을 비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미일 3국 유엔 주재 대사는 회의 직후 성명이 채택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이날 회의장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서맨사 파워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중국의 반응을 묻는 기자의 질문
북한에서 열린 강연회 모습.사진 제공-아시아프레스 북한에 계신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을 중심으로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에서 일어난 일들을 통해 북한의 정치와 경제, 사회를 엿보고 흐름과 의미를 살펴보는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입니다. 노정민의 라디오 세상, 오늘의 초점으로 시작합니다. ============================== - 지난 6월 초순, 북한 북부지방에서 간부들을 대상으로 ‘탈북 방지에 관한’ 특별 강연이 있었습니다. 한국에서 살다가 다시 북한에 입국한 ‘재입북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국 내 탈북자의 생활이 매우 비참하다는 것이 주된 내용인데요, 일반 주민이 아닌 간부들을 대상으로 탈북 방지에 관한 강연을 한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배경은 올해 중국에 파견된 북한 식당 종업원이 두 번에 걸쳐 탈북하지 않았습니까? 김정은 정권에서 보면 배신하지 않을 것으로 믿고 보낸 건데, 그런 사람까지 도망치기 시작했으니까 앞으로도 체제에 대한 불만과 한국에 대한 동경심 때문에 계속 탈북할 수 있다는 거죠.” 최근 중국 내 식당 종업원의 집단 탈북이 이어진 것은 북한 고위층과 핵심 계층 사이에서도 동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요, 북
“2014년 말까지 영변 핵시설 폐연료봉에서 플루토늄 추출…이후 핵탄두 제조했을 것” ▲ 美씽크탱크 ISIS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공개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지난 18개월 동안 핵탄두 4~6개를 더 생산, 현재 최대 21개를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美ISIS 관련보고서 캡쳐 lt;img width="1" height="1" src="http://interface.interworksmedia.co.kr/audience/interworks/?frame=0amp;random=1465996668942amp;v=1amp;fv=21.0.0.242amp;fmt=1amp;label=ZHB1605A_NEWDAILY_S_BA_HOUSEamp;item=www.newdaily.shared%2Fnewdaily_news;x04;4231amp;w=1093amp;h=614amp;cd=24amp;his=3amp;tz=540amp;cs=utf-8amp;java=1amp;cookie=1amp;plug=0amp;mime=0amp;frm=0amp;url=http%3A%2F%2Fwww.newdaily.co.kr%2Fnews%2Farticle.html%3Fno%3D313974amp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는 쿠웨이트 싸바흐 알 아흐마드 지역의 공사현장. 모래바람 때문에 건물 뒤쪽은 보이질 않는다. RFA PHOTO/ 홍알벗 K060916NE-AB.mp3 00:00/00:00 ANC: 당장 월급을 주지 않아도 되고 현지에서 통제가 쉽다는 이유 때문에 중동지역에 노동자로 파견되는 북한 현역군인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쿠웨이트에 현재 파견돼 일하고 있는 북한 노동자 수는 대략 3천200여명. 한때는 4천명 가까이 됐던 북한 노동자 수는 지난해부터 줄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쿠웨이트를 비롯한 중동 지역 건설현장에 노동자 신분으로 투입되는 북한 현역 군인의 수는 오히려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중동지역 건설현장 사정에 밝은 현지 소식통은 9일, 중동지역에 진출해 있는 북한의 건설회사인 남강건설과 철현건설을 통해 들어오는 북한 군인들의 수가 최근 2-3년동안 부쩍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남강건설은 쿠웨이트에 800여명, 그리고 카타르에 750여명의 북한 노동자를 파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또한 철현건설은 지난 2010년 쿠웨이트에 현역군인 70여명을 파견한 이
▲ ⓒ 미국의소리 홈페이지 캡처북한 주민 20명 1명은 노예같은 비참한 삶을 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1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호주 국제 인권단체인 ‘워크프리재단’지난달 31일 발표한 ‘2016 국제노예지수’ 보고서에서 북한 전체 인구 2천 5백만명 가운데 110만 명이 현대판 노예 상태라고 추정했다.이 수치는 조사대상 167개국 가운데 6번째로 많은 것이다.특히 북한은 전체 인구 중 현대판 노예의 비중이 4.37%로 조사 대상국 가운데 1위였다. 워크프리재단은 인신매매와 강제노동, 부채노동, 강제결혼, 아동 매매 및 노동착취 등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현대판 노예로 규정했다.보고서는 “북한에 관한 정보 확인은 어렵지만, 북한 주민들이 정부가 부과한 강제노동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증거가 폭넓게 존재한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 정부가 노동자들과 학생들에게 무보수 강제노동을 요구하고 있으며, 대규모 노동교화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북한 주민들이 농업과 벌목, 광업, 의류산업 등에서 장시간의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다는 보도들도 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북한 밖에서도 강제노동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정부가 중국과 러시아 등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