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4 (토)

  • 맑음동두천 9.3℃
  • 구름많음강릉 10.2℃
  • 맑음서울 9.3℃
  • 맑음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2℃
  • 구름조금울산 9.4℃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7.1℃
  • 맑음제주 11.5℃
  • 맑음강화 4.5℃
  • 맑음보은 8.3℃
  • 구름조금금산 8.0℃
  • 맑음강진군 10.6℃
  • 구름조금경주시 9.2℃
  • 구름많음거제 11.1℃
기상청 제공

경전공부

유식30송 제11송 선심소(6종심소 중 선심소의 11가지)

善謂信慙愧 無貪第三根 선위신참괴 무탐제삼근
勤安不放逸 行捨及不害 근안부방일 행사급부해

善謂信慙愧 無貪第三根

선위신참괴 무탐제삼근

勤安不放逸 行捨及不害

근안부방일 행사급부해

선(善)이란 이른바

신(信)·참(慙)·괴(愧)와

무탐(無貪)·무진(無瞋)·무치(無痴) 등 3선근(三善根)과

근(勤)·안(安)·불방일(不放逸)·행사(行捨) 그리고 불해(不害)이다.


제6의식을 심소(心所)로 하는 선(善)에는 이상 11가지가 있다.

이를 개별적으로 해설하면,


신(信) : 부처님의 세계와 위에서 설명한 불성을 믿는 마음이다.

믿는 마음이란 결정적인 믿음이다.

왔다 갔다 형편 따라 믿는 것을 믿는 것이라고 하지 않는다.

어떠한 어려운 환경에서도 앞으로 전진 하는 믿음이 믿는 마음이다.


이 믿음이 앞에서 설한 오별경 수행의 근본이 되고,

일체 보살도와 성불의 근본이 되고 앞으로 설할 10가지 선행의 근본이 된다.


참(慙) :

자기가 행해야 할 것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는 마음이다.

일요일 법회에 참석해야 하는데 참석하지 못한 것을 부처님께 죄송하게

생각하고 도반들에게 부끄럽게 생각하는 마음이 부끄러울 참(慙)이다.

이 11가지 선행을 살펴 행하지 않은 것을 참회하는 마음이다.


괴(愧) :

자기가 이미 한 일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모욕적으로 느끼거나 책망하는 마음이다.

자신과 약속한 것을 자신이 어겼다든가,

남에게 부주의로 화를 냈거나 해를 끼쳤을 때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모욕적으로 느껴 자신을 책망하는 마음이다.


이 참괴(慙愧),

자기가 하지 않은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자기가 잘못한 일을 인정하고 참회하는 마음은 자기의 변화와 개선(改善),

발전에 원동력이 되지만

자기가 잘못한 일에 이유를 달고,

상대방의 탓이라고 돌리는 사람은 자기의 변화를 가질 기회를 놓치고,

자기를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동기를 잃음으로서

성격상의 결함이 더욱 심해지기 쉽다.

신(信)과 더불어 자기발전의 근본이 되는 마음이다. 


무탐(無貪) :

제행무상(諸行無常)과 제법무아(諸法無我)의 경지에 이르러

일체가 있는 그대로가 귀하고 아름답고

나와 더불어 하고 있음을 아는 지라 욕심낼 것이 없는

이치를 이미 통달한 마음이다.


무진(無瞋) :

사람이 화를 내는 것은

구하는 것이 구해지지 않을 때,

버리고 싶은 것이 버려지지 않을 때,

일의 진행이 기대에 어긋날 때 화가 나는 법이다.

즉 탐욕이 있을 때 그에 미치지 못하면 화가 나게 마련이다.

수행자가 제행무상(諸行無常)과 제법무아(諸法無我)를 수행하면

있고 없음이 상즉(相卽)하고 있는 진리를 깨치게 된다.

이 진리를 깨달은 수행자는 구함과 버림이 상즉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니

구할 것도 없고 버릴 것도 없으며 기대할 것도 없으니 화낼 일이 없다.

이것이 무진(無瞋)의 원리이니,

어떠한 재해(災害)를 당하고 역경(逆境)에 임한다 해도

태연하게 일을 수습할 뿐 남을 원망하거나

성내거나 한탄하는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마음이다.


무치(無痴) :

제행무상(諸行無常)과 제법무아(諸法無我)의 사리(事理)를

명백히 요달(了達)하여 어리석은 마음이 없음을 말한다.

어리석음이 곧 무명(無明)이니

무치는 무명이 끊어짐이니 사실(事實) 그대로를 볼 수 있는 안목이다.

이상의 탐·진·치(貪·瞋·痴)를 삼독(三毒)이라 하고

3독의 마음이 없으면 3선근(三善根)이라 하며

이는 일체 선법(善法)이 되기 때문이다.

근(勤) :

정진(精進)의 뜻이니

무엇을 하든 하는 일에 일념으로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

안(安) :

안(安)은 경안(經安) 혹은 편안(便安)의 줄임말로서

생사(生死)의 번뇌에서 해탈하였을 때

더 이상 걱정할 일이 없으므로 이루어지는 가벼운 마음, 편안한 마음이다.

무탐, 무진, 무치를 성취한 이를 생사번뇌에서 해탈했다고 한다.

불방일(不放逸) :

공부를 한다고 책상에 앉아 있으면서도 생각은 딴 데가 있다거나,

좌선한다고 앉아 있어도 허망한 생각에 잠겨 있는 것이 방일(放逸)하는 것이니

불방일(不放逸)은 밥 먹을 때 밥 먹고, 잠잘 때 잠자는 것이다.

행사(行捨) :

앞 송에서의 사(捨)는 무기(無記),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것을 의미했으나

여기 행사는 근심을 놓아 버리라,

알음알이를 방하착하라,

걱정도 놓아 버리고,

오만도 놓아 버리며,

필요 없는 일에 집착도 버리는 수행이 행사이다.


불해(不害) :

모든 유정(有情)에게 고통과 피해를 주지 않고

오로지 발고여락(拔苦與樂)

고통을 덜어주고 즐거움을 주고자 하는 마음을 일으키므로

불해(不害)라 한다. 발고여락하는 행이 보살도이다.


[중간 고사]

어떠한 제목이든 자신이 택하여 생각을 정리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지난주에 강의한 것을 간단히 복습하여 보자.

제8송에서 제3능변식에 6종(種)이 있다고 하고,

그 6종은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이다.

이 6종식은 경계를 요별하는 것을 성(性)과 상(相)으로 한다.

경계란 색성향미촉법이다.

그리고 이 6종식은 좋고 나쁘고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무기(無記)와 상응(相應)한다.

제9송에서는

제6식에 의지해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을 51가지로 분류(分類)해 설명한다.

변행에 5가지, 별경에 5가지, 선(善)에 11가지, 번뇌에 6가지, 수번뇌(隨煩惱)에 20가지, 부정(不定)에 4가지를 합하여 51가지의 마음의 작용이

제6식에 의지해 일어난다.

그리고 제6식에 의지해 일어나는

고(苦), 낙(樂), 사(捨) 삼수(三受)와 모두 상응한다고 했다.


제10송에서는 제6의식에 의지하여 작용하는

변행심소(遍行心所)인 촉(觸)·작의(作意)·수(受)·상(想)·사(思)와

별경오심소(別境五心所)인 욕(欲)·승해(勝解)·념(念)·정(定)·혜(慧)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들 다섯 가지 심소(心所)는 반연하는 바가 각기 다르다고 했다.


제11송에서는

선(善)이란 이른바 신(信)·참(慙)·괴(愧)와 무탐(無貪)·무진(無瞋)·무치(無痴) 등

3선근(三善根)과 근(勤)·안(安)·불방일(不放逸)·행사(行捨)

그리고 불해(不害) 11가지라 하고 이들을 상세히 설명했다. 


관련기사

[대불총성명서]"이종명의원" 제명한 자유한국당 윤리위원회 결정은 잘못이다. 자유한국당이 이종명의원을 "5.18 진상규명 공청회 환영사" 관련하여 출당을 결정한 것은 지극히 유감스럽다. 남남 갈등의 원인 중 5.18 사건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2018년 "5.18민주화 운동 관련 진상규명 특별법"을 만들면서 까지 재조사 하는 것으로 증명 된다. 모든 국민은 이번 조사를 통하여 의문이 명명백백히 가려지기를 원하고 있을 것이다. 이 법의 조사범위에는 "북한군 개입여부 및 북한군 개입 조작설"이 자유한국당의 제안으로 포함되었다. 문제가 되고 있는 "5.18 공청회"도 분명히 이러한 위 진상규명 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실시되었다. 본 공청회는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도움을 받아 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하는 측에서 북한군 개입설을 반대하는 측과의 토론을 위하여 실시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북한군 개입설을 주장하는 측의 주장이 반대측의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은 필연적이므로 쌍방간의 이견이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있다. 이것이 민주국가에서 공론의 과정이다. 그러므로국회가 문제를 삼는 것은 부당하다 더욱5.18 진상규명을 국회가 입법하고도, 잘해보자는 국회의원들의 발언내용이 자신들의 생각과 다르다고 제명을 운운하는 것은 민주국가의 국회 모

[대불총 성명서] 김정숙의 인도 관광지 유람, 철저히 조사하여 의법처리하라! [대불총 성명서] 김정숙의 인도관광 외교참사, 철저히 조사하여 의법 처리하라! 외교부와 문광부의 국정감사장에서 여당의원들의 공개로 문재인 전대통령 부인 김정숙이 2018년 10월 인도 방문과 타지마할 관광에 대하여 김정숙의 버킷리스트가 빚은 외교참사라는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 이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표적으로 당시 김정숙의 외유성 해외순방 행태를 비판한 중앙일보에 대해 청와대는 소송을 냈으나 1심에서 패소하고 상고도 포기한 바 있다. 문정권의 비호로 지금까지 가려져 왔으나, 정권교체 후 여당의원들의 집요한 노력으로 진상이 밝혀지고 있다. 본 건은 2018년 10월 인도에서 신라 김수로왕의 허왕후 기념공원 착공식과 인도의 가장 큰 디왈리 축제에 한국의 문체부 장관을 인도의 관광차관이 초정하였으나 김정숙이 끼어들어 문제가 발생했다. 첫째, 김정숙이 참가한 것은 당시 청와대가 밝힌 대로 먼저 인도 총리가 김정숙을 초청한 것이 아니라 청와대의 뜻에 따라 외교부가 김정숙 참석을 희망했고, 인도 측에서 초청장을 보내왔다는 것이다. 문정권이 거짓으로 국민을 우롱한 것이다. 둘째, 김정숙 순방관련 예산 4억원의 예비비 사용 신청 하루 만에 국무회의 의결이 되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